2013년 12월 13일 금요일

Scandinavians and Americans Agree on Social Welfare in the Face of Deservingness Cues

경제발전 정도가 유사한, 미국과 유럽 사이에 복지정책에 관한 뚜렷한 차이는 오랫동안 중요한 연구과제인데, 정치학과 심리학에서의 연구들이 많아지는 듯. 조만간 Journal of Politics에 게재될 덴마크의 정치학자들 Lene Aarøe and Michael Bang Petersen의 작업(pdf)은 특히 흥미로운데....

1. 누구나 다 아는 것처럼, 복지에 대한 반대정도는 미국인은 높고, 덴마크인은 낮았다. 양국민에게 "복지수혜자 한명을  생각해 보라"라는 메시지(Recipient with No Cues Condition)를 보여주고 하고, 복지제도에 대한 반대정도를 "강력반대(1)"에서부터 "강력찬성(0)"까지 7단계로 답하게 해서 보면, 미국인의 반대도는 0.57이고 덴마크인은 0.49.

2. 그 이유를 찾기 위해서, 양국민에게 복지 수혜자하면 떠오르는 단어를 20개 나열해 보라고 한 후, 그 단어 중에서 "게으름"과 관련된 단어와 "불운"과 관련된 단어를 추려서 계산해 보았다. 그 결과 미국인은 덴마크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게으름"을 떠올리는 단어수가 높았다.


3. 여기까지는 "복지수혜자에 대한 stereotype -> 복지국가에 대한 반대 정도"라는 매우 상식적인 결론인데, 정작 흥미로운 것은 질문지를 살짝 바꾸었을 때였다.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복지수혜자를 생각해 보라. 그는 꾸준히 일해 왔고, 일을 하다가 부상을 당하였는데, 다시 일을 하고 싶어 한다"라는 메시지(Unlucky Recipient Condition)를 또 다른 사람들에게는 "복지수혜자를 생각해 보라. 그는 건강하고 능력이 있지만 꾸준이 일을 해 본 적이 없다. 그는 일하고 싶어하지 않는다"라는 메시지를 (Lazy Recipient Condition)를 보여주고 복지제도에 대한 반대정도를 측정하였더니,  마술처럼 미국인과 덴마크인 사이의 차이가 사라졌다.


4. 아래 그림에서처럼, 복지수혜자에 대한 Lazy Stereotype이 강할수록, 복지제도에 대한 반대가 높은데 (실선), 수혜자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되면 Stereotype이 복지제도의 반대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급속히 낮아진다.


5. 한국에도 번역된 Alesina and Glaeseer의 <복지국가의 정치학>을 보완하는 연구인데, 복지제도의 강화를 위해서는 좋은 제도의 설계도 중요하겠지만, 국민적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심리적, 정치적 접근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연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