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초에 미국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의장이자 프린스턴대의 경제학자인 Alan Krueger가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연설(PDF Text, PPT Slide)에서 발표되었고, 그후 오바마대통령이 국회에 제출한 Economic Report of the President에 수록되면서 유명해진 것인데, 말하자면 당대의 소득불평등도와 세대간 소득고착 정도를 그림으로 보인 것.
X축은 Gini계수로 대표적인 소득불평등도 지수, 클수록 불평등한 사회. Y축은 세대간 소득 탄력성(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로, 말하자면 아버지의 소득이 1% 높아질 때, 자식의 기대소득은 몇% 높아지는가를 측정. 그러니까 이 지수가 커질수록 사회의 계층이동성은 낮아지는 것.
위의 그림은 1985년의 data를 이용해서 그려본 것인데, 두 변수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가 뚜렷. 미국의 경우 불평등도도 크고, 세대간 이동가능성도 낮은데, 더욱 심각한 것은, 그 이후 25년동안 불평등이 훨씬 더 심화되었다는 것. Krueger는 위의 관계가 유지된다고 했을 때, 미국의 소득불평등은 세대간 계층이동성을 훨씬 더 심각하게 악화시킬 것이라고 예측.
작년에 이 차트를 보고 한국 데이터를 구해어보려고 했는데, 지니계수야 쉽게 찾을 수 있지만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를 구하지 못해서 아쉬어 했던 기억. 여러학자들의 버젼에 따라서 등장하는 국가가 조금씩 다른데, 어디에서도 한국은 보지 못한 듯. (누구 도움주실 분 없나요?)
나도 영어 시원찮고 특히 듣기는 더욱 그러한데, Krueger의 이 연설 동영상은 더할나위 없이 또박또박한 영어. 한번 도전해 보셔도 좋을 듯.
본래 이 아이디어, 데이터, 차트는 Krueger가 Miles Corak을 인용한 것. 하지만 대부분 (나를 포함해서) 사람들의 머리 속에는 Krueger가 남아 있다. Corak은 유명학자의 인용 덕에 알려졌다고 고마워할까, 아니면 이 차트를 보고 자신보다 Krueger를 먼저 떠올리는 세상에 대해서 분노(?)가 생길까, 하는 약간의 궁금증이.
그리고 조용해지는가 했는데, Mankiw가 이에 대해서 별거 아니란 투로 올해 반박하고, 약간의 논쟁 2부가 있었는데, 이건 다음 기회에...
나는 '개천에서 용났다'는 표현 별로 안 좋아한다. 어려운 환경을 개천으로 부르는 것도 맘에 안들고, 성공한 이를 용에 비유하는 것도 별로다. 그리고 나야 용이라고 할 수는 전혀 없지만,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한국사회에서 안온한 중산층으로 사는 처지라, 세대간 역동성에는 특별한 애착이 있다. 나는 아이가 없지만, 불평등을 생각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다음 세대가 부모의 사회적 지위에 의해서 틀지워지는 것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인데, 그 생각은 매우 불편하다.
아 그리고 내가 (억지로) 읽은 고전 중에 첫 문장이 인상적이었던 작품이 두개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Great Gatsby....
In my younger and more vulnerable years my father gave me some advice that I've been turning over in my mind ever since.
"Whenever you feel like criticizing any one," he told me, "just remember that all the people in this world haven't had the advantages that you've h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