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30일 목요일

Should every chart start at 0?

R-bloggers에서 Economic Policy Institute의 차트가 가로축의 범위를 이상하게 둠으로써, 독자를 호도한다고 비판했는데, 글쎄 나라면 이번 경우에 EPI의 편을 들고 싶다.

1. Original Chart from EPI

아래와 같은 차트를 제시하고 이것에 대해서 2008-2010년 기간동안에 Empolyment-to-Population 비율이 급락 (ski jump) 했다고 묘사.


2. Revised Chart from R-blogger

이것에 대해서 R-bloggers는 가로축의 범위가 74~82 % 범위에서 그려졌는데, 이것을 0~100%로 그리면 완전히 다른 이미지가 된다는 것


이들은 이 차트에서 보듯 하락은 했지만 어쨋든 스키점프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대놓고 주장하지는 않지만 EPI의 차트는 일종의 사기에 가깝다는 것을 암시.

3. 적절한 범위. 0~100%?

일단 나는 백분율로 표현되든 지표에 대해서 반드시 0~100% 구간으로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예컨데 경향신문에 보도된 청년실업율 그래프를 보자


이 차트는 가로축의 출발점이 얼마인지가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지는 않은데, 7.5에서 10.0 사이의 거리랑 비교해보면, 대략 6정도 아닐까? 이 차트는 2012년 12월 이후 짧은 시기에 급등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린 것인데, 이것을 0에서 출발하는 차트로 해보면 어떨까?


큰 변화는 없어 보이고, 그래도 2012년 12월 이후 어느정도 상승했다는 것은 포착된다. 그런데 이것을 사실 R-bloggers의 취지에 맞게 그리려면 세로축의 범위를 단순히 0에서 출발하는 게 아니라 100에서 끝나도록 해야한다.


이런 식으로 그리면 사실 아무 의미없는 차트가 된다. 거의 어떤 변화도 느껴지지 않는. 과연 이게 올바른 비쥬얼라이제이션일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4. 적절한 범위. 역사적 최소값에서 역사적 최대값?

어쩌면 R-bloggers가 보기엔, 여성 employment-to-population의 경우처럼, 50%를 갓 넘은 시기도 있었으니, 최소한 EPI가 그린 차트보다는 더 가로축의 범위를 확장해야 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나는 이렇게 주장한다고 해도 별로다. 굉장히 긴 시기에 걸친 제도적/문화적 변화에 따른 변화를 반영한 것인데, 단기간에 변동을 묘사하기 위해 이런 것을 고려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생각.

5. 내용에 따라 가로축의 범위가 정해져야

그런 점에서 난 EPI가 묘사한 "급락"이라는 표현에 동의하는 분도 있고, 동의하지 않는 분도 있겠으나, 노동경제학에 익숙한 분들이 알아서 쓰거나 말거나 할 수있는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면 OECD 국가들의 GINI 계수를 비교하는 차트를 그린다면 나는 대략 0.25에서 0.4 정도의 범위로 그릴 것이다. 이것을 0~1로 그린다면 각국간의 차이는 거의 포착이 안될 것인데, 분배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관심 있는 분들은 알겠지만, 0.25정도되는 북구유럽과 0.38정도되는 미국의 분배상태는 넘사벽이다. 예컨데 영국/미국이 OECD 평균에 비해 얼마나 불평등이 심한가를 보이기 위해 그린 아래 차트를 보자,


이것을 만약에 0~1의 범위에 그리면 어떻게 될까? 미국도 영국도 OECD평균도 하나로 뭉쳐져서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 것이다. 그래서 분배상태는 다 그게 그거다? 그래서 나는 이것을 뚜렷하게 보이기 위해서 0~1의 범위를 포기하는 것을 문제라고는 조금도 생각하지 않는다.

차트는 0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주장은, R-bloggers의 포스팅 외에도 가끔 마주치게 되는데, 근거가 전혀 없다고 생각.....

2014년 1월 25일 토요일

미국 세대간 계층이동성에 관한 연구, 그리고 부러움.

요 며칠 미국의 주요 경제면과 블로그스피어에서 단연 화제가 된 것은, Raj Chetty가 이끄는 연구팀의 미국에서의 세대간계층이동성(Intergenerational Mobility, IGM)에  관한 놀라운 실증연구였다. 난 연구의 발견에도 놀랐고, 데이터에도 놀랐고, 대중들과의 소통에도 놀랐고, 학자들의 인테그리티에도 놀랐고, 그리고 이 모든 것이 부러웠다.

수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이 연구를, 꼼꼼히 더 생각해보기 위해 메모해 둔다.

1. 배경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상당히 오랜기간 동안 이 주제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겠지만,  이 주제가 처음 대중적인 화제로 떠오른 것은 미국 대통령 경제자문회의 의장인 Alan Kruger가 2012년 미국진보센터(CAP: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연설에서, Great Gatsby Curve를 소개하면서부터였다. 요는 여러 나라를 비교해보니, 1) 불평등도가 클수록 IGM이 낮더라는 것과 2) 미국의 경우 지속적으로 불평등도가 커졌으니 IGM도 악화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 (나도 이것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한 적이 있다)




이것은 어메리칸 드림이라는 기회의 땅으로서의 미국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여져서 일파만파로 퍼져나갔다. 오바마도 이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데, 국회에 제출한 2012년 대통령 경제 보고서(Economic Report of the President)에서 이것을 다루었고, 지난 연말에 CAP을 방문한 자리에서, 연설가로서의 오바마의 진면목을 보여줬을 때, 주제도 이것 불평등과 IGM이었다. 

2. 시간에 따른 변화

Chetty 팀의 첫번째 연구 주제는 IGM을 시기별 변화를 살펴보는 것. 우선 다음 차트를 통해서 간단한 내용을 먼저 살펴보자.


이 차트는 1971년에서 1974년에 태어난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다. 가로축은 이들이 태어났을 때 부모의 소득수준(백분위)이고, 세로축은 그들이 20대 후반이 되었을 때 소득수준의 평균 (백분위)이다. 기울기는 0.299인데 당연히 이것이 가파를수록 IGM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시기적으로 뒤로 가면 이 경사가 더 가파르게 변했을까? 


71-74년생들에 더해서 75-78, 79-82년 생들에 대해서 동일한 추적을 했는데, 세개의 추세선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니까 통념과는 달리 미국의 IGM은 악화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hetty등은 현대의 소득불평등 심화는 주로 Top 1 %의 소득 향상에 집중된 것이라, 하위 계층의 신분상승도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Great Gatsby Curve와 자신들의 발견이 모순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

하나 더, 마지막으로 흥미로운 것이 birth lottery라는 것인데, 소득이 높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것이 얼마나 이 아이가 성년이 되었을 때 얼마나 높은 소득을 기대할 수 있느냐하는 것. 불평등도는 커지고, IGM은 그대로라면, 이 birth lottery의 금액은 커진다는 것. 이것을 직관적으로 표현한 것이 아래 그림이다.


소득불평등도가 커졌다는 것은 사다리가 길어졌다는 것이고, IGM이 불변이라는 것은 계단 한 칸을 올라갈 확률은 동일하다는 것. 이것을 복권으로 말하자면 당첨될 확률은 불변인데, 당첨시 상금이 커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

3. 지역적 차이

Chetty팀의 두번째 주제는, 미국내에서 어느 지역에 태어났는가하는 것이 IGM에 영향을 미치는 가하는 것이다. 이것도 매우 놀라운데, 지역별로 IGM의 차이가 너무 커서, '미국은 기회의 땅인가'라고 묻는다면, '기회의 땅과 기회가 없는 땅의 연합체'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 

우선 이들이 상대적 IGM이라고 했던 것부터 보자. 위에서 설명했던 대로, 부보의 소득(백분위)과 자식의 소득(백분위)에 대한 기울기가 클수록 IGM이 낮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미국을 지역(Commuting Zone)별로 구분해서, 이 기울기를 살펴 보면 이동가능성이 극히 낮은 지역(짙은색)부터 극히 높은 지역(옅은색)까지 다양하게 분포. 


이번에는 조금 시각을 달리해서, 절대적 IGM을 보자. 부모가 소득이 하위 25% 수준일 때, 그 자식이 성년이 되서 얻게 된 소득의 평균값의 백분위 위치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이번에도 IGM이 매우 낮은 지역(짙은색)과 매우 높은 지역(옅은색)으로 뚜렷하게 구분.



당연히 그 다음 분석은, 어떤 요인이 지리적으로 IGM의 차이을 만들어내는가 하는 것인데, 첫번째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인종적 요인. 이들은 흑인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IGM이 낮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 지역의 백인들에서도 IGM은 낮다는 것. 그러니까 결국 인종적 특성이 IGM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가능한 설명은 흑인비중이 높은 지역은 인종/소득의 Segregation이 높고, 이 Segregation이 높을 수록 IGM이 낮다는 것.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지역별 소득불평등도. Kruger가 소개한 바 국가별로 보면 불평등도가 클수록 IGM이 낮았는데, 이것이 미국내에서 지역별로 보아도 동일하게 관찰된다는 것.


그 외에도 학교의 질 (학교비교성적(+), 고교중퇴율(-)), 사회적 자본 (사회적자본지수(+), 종교인비율(+)), 가족 요인 (외부모비율(-)) 등 다양한 요인들이 IGM에 영향을 미쳤다. 


4. 데이터

이전에도 여러 실증연구가 있었는데, 이들의 연구는 자료의 측면에서 획기적이다. 첫째 규모면에서 4천만명의 아이를 추적한 것이어서 다른 연구들과는 비교가 안될 정도이고, 두번째로는 데이터의 소스 측면인데 다른 연구들이 주로 서베이 데이터에 의존한데 반해 이들은 소득세자료를 분석. 당연히 퀄린티도 매우 개선.

어제 내 페북에서 이 연구에 대해 약간의 대화가 있었는데, 한국의 경제학자들이 가장 부러워한 것이 이 대목이었다. 나도 오래전부터 세무데이터를 이용한 연구가 개방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 이 연구 외에도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 세무 자료를 이용해서 온갖 분석을 했던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인데, 사실 요즘은 좀 주저하게 된다.

이렇게 세무자료 같이 민감한 자료를 공개할 때는 de-identified라고 해서 특정인으로 추적을 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이 쉽지 않다. 내가 세부적인 것은 기억은 안나는데, 몇해전에 미국의 한 주에서 연구목적으로 의료데이터를 de-identified해서 공개한 적이 있다. 주지사가 이것에 대해서 엄청 홍보를 했는데, 그 지역 대학원생이 공개된 자료를 분석하고 추적해서 그 주지사의 모든 의료기록을 복원해서 주지사에게 보내고 조롱했던 적이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개인정보 침해를 우습게 아는 경향이 있어서 더 걱정이기도 하고. 어쨋든 나는 다소 주저하는 바가 없지 않지만, 보다 광범위하게 데이터를 공개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듯하다. 제도나 법령도 정비할 것이 많을 것이고, computer scientist를 중심으로 de-identification 테크닉 발전도 필요하고.

5. 소통

요즘 미국에서는 중요한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면, 논문만 제출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대중과 소통하는 데 엄청난 노력을 기울인다. 예전에 내가 Oregon Health Insurance Experiment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는데, 그 때 감탄했던 것이 이들은 성과가 나올 때마다 전문 학술지인 QJE와 NEJM에 기고하는 것에 더해서 프로젝트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Homepage를 독립적으로 만들어서 연구와 관련된 온갖 것들을 제공하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번에도 그러한데, Chetty팀은 이제까지의 연구성과를 NBER의 두편의 워킹페이퍼로 발표했고, The Equality of Opportunity Project라는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간략한 요약(Executive Summary), 프리젠테이션용 슬라이드, 실제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동영상, 데이터, 연구진, 뉴스인용, 그리고 interactive chart까지, 정말로 각계 각층을 겨냥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프로페셔널 경제학자가 아닌 나같은 현장 종사자로서는 너무나 훌륭한 요약문과 슬라이드로 충분했고, 해당분야 학자들이야 논문을 읽을 것이고.

6. 학계의 모습

지난 신정 때 양동휴 교수댁에 세배 갔다가, 경제사하시는 분들이 버냉키에 대해서 극찬하시는 데, 그 핵심은 버냉키는 대공황의 교훈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버냉키가 어느 자리에선가 연설을 하면서, 프리드만-슈와르츠의 화폐사 연구를 언급하며, 자신은 절대로 대공황 시기의 정책실패를 피할 것이라고 한 적이 있다고. 이것도 마찬가지다, 좀 단순하게 얘기하면 긴 시기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는 전부 경제사 아닌가? 

또 학자들의 인테그리티도 중요. 분배정책에 대해서 리버럴과 보수가 극단적으로 대립하지만, 이런 무게있는 연구가 결국은 중심을 잡아주지 않을까 싶다.  팀의 핵심 멤버인 Chetty도 그렇고 Emmanuel Saez도 그렇고, 거칠게 구분하자면 리버럴 성향이 강한 경제학자들인데, 이들은 리버럴이 요즘 가장 매달리고 있는 'IGM의 악화'는 사실이 아니라고 담담하게 말한다. 

좌우간 무척이나 부러운 그런 연구다. 이들의 결과만으로도 한국의 정책가들에게 인사이트를 주지만, 우리의 정부가, 우리의 학계가 우리의 현실에 대한 정확한 모습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PS (June 4, 2014) Science의 Jeff Mervis가 IRS 조세정보 연구활용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를 포스팅하여, 이것을 정리해 둠.

2014년 1월 20일 월요일

탄력성과 직관적인 소통

황승식 교수는 통계나 확률적 표현들을 보다 직관적으로 해서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각별한 고민을 하시는 분이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게르트 기거렌처의 <숫자에 속아 위험한 선택을 하는 사람들>을 번역 출판하기도 했다.

최근 황교수는 페이스북에서 탄력성 값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의견을 냈고, 이덕희 박사와 논의를 하고 있는데, 나도 약간의 이견이 있어서 정리해 둔다....

예컨데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보자, 담배가격이 현재 1,000원인데 100원 인상했더니 전국의 월 담배소비량이 10,000갑에서 1,200갑이 줄어서 8,800갑이 되었다고 하자. 이럴 때 탄력성 값을 그대로 써서 표현하면 (왜 그런 값이 나오는지는 조금 있다 생각하고)
1) 담배소비량의 가격탄력성은 1.2
으로 할 것이다. 물론 이것은 직관적이지 않고 탄력성이라는 개념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암호 비슷한 그런 내용일 것이다. 그래서 이것을 조금 풀어서,
2) 담배가격이 1% 상승하면, 담배소비량은 1.2% 줄어든다. 
라고 표현하곤 한다. 위 1)의 탄력성이라는 것은 12%를 10%로 나눈 것이다. 이것은 첫번째 표현보다는 한결 쉽게 보이는데, 황교수는 과연 일반 독자가 이런 표현을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런 표현도 오만한 것 아닐까, 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그래서 차라리
3) 담배가격이 100원 상승하면, 담배소비량은 1,200갑이 줄어든다
라고 쓰자는 데까지 나간다. 물론 이 표현은 더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쉽다. 하지만 치명적인 문제가 있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사라진다는 것, 그러니까 1,200갑 줄어든다는 것의 의미를 잡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우리의 예와는 달리 담배소비량이 1,000,000갑에서 1,200갑으로 줄어들었다면 여전히 3)의 표현 그대로이겠지만, 그 의미는 너무도 다르다. 앞의 1,200갑 줄어든 것은 상당히 줄어든 것이지만, 뒤의 1,200갑 줄어든 것은 거의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 이런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가격이 몇원 올랐고, 소비량이 몇갑 줄어들었다는 정보는 애초에 가격이 얼마였고, 애초에 얼마나 소비했는가와 같이 표현하는 수밖에 없다.
4) 담배가격이 1,000원에서 100원 상승하면, 소비량은 10,000갑에서 1,200갑 준다.
이렇게 표현하면 되긴 하는데, 글쎄 이것을 요약한 표현으로서 2)의 표현은 용인될 수 있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

나라면 이런 상황에서 보도자료를 쓸 때, 제목에는 2)와 같은 표현을 쓰고 본문에 4)의 내용을 담을 듯....

2014년 1월 14일 화요일

마리화나, 동성결혼 그리고 가치체계...

요즘 미국에서는 콜로라도의 marijuana 합법화에 대한 온간 분석, 평가 등이 난무하는데, 난 그 내용보다 정치적 함의에 대해 Joshua Tucker가 쓴 분석에 대해서 생각해 보곤한다.





마리화나 합법화는 동성결혼 합법화와 유사하다는 것인데, 1) 장기에 걸친 합법화 찬성율의 상승과 2) 드디어 최근에 찬성이 반대를 앞질렀다는 것 3) 민주당지지자들의 찬성과 공화당지지자들의 반대 4) 젊은 세대의 찬성 등등. 그렇다면 동성결혼이 정계의 폭풍이었던 것처럼, 마리화나도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것.

이 두 주제가 한국에서 유사하게 나타날 것이다라는 뜻이 아니라, 일견 중요하게 보이지 않는 사회적 이슈가 긴 시간 에너지를 흡수하면 경제적 이슈를 압도하는 때가 있을 수도 있다는 그런 측면...

미국에 대해 연구하는 저개발국 경제학자.....

내 평상시 생각과 싱크로율 100%인 Economist지 기사. (근데 어쩌다보니, 요즈음 이 잡지와 내 생각의 유사성을 자주 확인하게 된다는....내가 대학원 다니던 시절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는데... 내가 변한 건지, Economist지가 변한건지)



경제학 학술논문의 분석대상을 살펴보니, 유럽/아시아/남미/중동/아프리카를 다 합친 것보다 미국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더 많다는 것. 다양한 이유가 있겠으나, 젊은 경제학자들이 승진에 필요한 학계의 관심과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소위 prestigious journal에 실어야 하고, 이 저널들은 미국에 관한 논문을 편애하고.... 그래서 취업과 승진이 필요한 한국의 젊고 똑똑한 경제학자들이 한국을 대상으로 한 논문을 멀리한다는 슬픈....현실. 이 포스팅을 읽을지도 모를 경제학자들에게 부탁을 대신해서 기사의 마지막 문장을 바친다...

Economists ought to be bolder in venturing outside their comfort zone.

2014년 1월 12일 일요일

저혈당증과 식품비

우선 Hilary Seligman 등이 Health Affairs에 게재한 논문, "Exhaustion of Food Budgets at Month’s End and Hospital Admissions for Hypoglycemia(Gated)"에 등장하는 아래의 그림부터 보자.


위의 세개의 선이 나타내는 것은 저혈당증 (hypoglycemia) 발생율이다. 녹색은 소득구분을 하지 않은 전체 발생율이고, 붉은색은 저소득층, 오렌지색은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발생율이다. 선들사이의 간격을 보면, 소득이 높아진다고 하여 저혈당증이 뚜렷이 개선되지는 않지만,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는 그 위험이 매우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도 의미있는 것이긴 하나,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고, 오히려 놀라운 것은 따로 있다. 저소득층에게 있어서 발명율이 월초보다 월말에 뚜렸이 높다는 것이다. 저혈당증은 당뇨병 환자가 음식섭취를 제대로 못할 때 발생하는 것이라,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생활비가 부족한 가계는 월말이 되면 식품 구입비가 부족하여 저혈당증 발생율이 높아진다는 것. 반면에 고소득층이나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하면 이런 월말효과가 없다는 것.

다른 질병에 대해서도 이런 효과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충수염(Appendicitis)의 발생율을 비슷한 방식으로 표시한 것이 아래 세개의 선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여기에서는 어떤 소득계층에서도 월초/중/말 효과가 없다는 것.

빈민정책에서 알려진 관찰은, 쓸 돈이 부족하게 되면 월세나 공과금을 우선하고 식품구입이 후순위로 밀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식품비 절감의 건강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빈민정책에 있어서 식품 스탬프, 바우처나 현물로 공급하는 것의 중요성을 좀 더 생각하게 하는 연구.

이 연구는 여러 매체에 소개되었는데, New York Times의 Study Ties Diabetic Crises to Dip in Food Budgets가 깔끔하게 소개하고 있다. 블로그에서는 The Incidental Economis의 Sometimes health policy can’t be about about health care에서 잘 논의. 제목 그대로 보건정책이 지나치게 건강보험으로만 축소되는 것의 위험성은 한구도 마찬가지인 듯.

이 블로그 이번에 처음 알게된 것인데 부제가 Contemplating health care with a focus on research, an eye on reform. 매우 유용할 듯.

Smoking Caterpillar

담배 이야기 나온 김에 하나 더. 며칠전 Economist 지를 뒤적이다 눈에 띈 재미있는 과학 기사 한토막 (Death breath: Caterpillars that blow nicotine at their enemy).

학자들이 흥미를 갖는 벌레 중에 담배잎에 서식을 하는 hornworm이라는 것이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니코틴이 방충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벌레가 니코틴을 어떻게 처리하는가 하는 것에 대한 관심. 그런데 Ian Baldwin 등이 이끄는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의 연구팀에 의하면 이 벌레는 니코틴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무기로도 사용한다는 것.

두가지 실험을 하였는데, 첫번째 실험은 hornworm을 일반적인 담배나무에서 서식할 때와, 니코틴을 갖지 않도록 유전자 변형된 담배나무에서 서식할 때의 생존율을 비교. 후자가 훨씬 높다는 것. 담배잎에 포함된 니코틴을 호흡으로 배출하여 천적인 wolf spider를 쫒는 것.

두번째 실험은 hornworm의 유전자를 변형하여 소화기 속의 니코틴을 혈액으로 옮기지 못하도록 한 것과 일반 hornworm의 생존율 비교. 이때에도 후자가 훨씬 더 높은 생존율. 전자의 hornworm은 소화기 내의 니코틴을 다 배설하고 혈액을 통해 호흡과정으로 끌고 오지 못한 것. 그래서 효과적으로 wolf spider를 쫒지 못한 것.

연구의 중요성 이런 것이야 내가 판단할 처지가 아니고, 내눈에 띈 것은 아기자기하고 재밌다는 것, 그리고 이 연구를 기사화한 Economist지 편집자는 Alice’s Adventures in Wonderland의 물담배 피는 푸른 애벌레를 인용하면서 글을 이끌어간 것. 특별히 곤충학에 조예도 관심도 없는 내 시선을 잡은 것은 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대목. 뭐 특별히 인문학적 소양, 운운하고 싶지는 않고 그런 글쓰기가 꽤 유효하다는 것. (난 앨리스의 광팬 중의 하나인데, 내가 이 과학기사를 쓰는 처지의 기자였다면, 과연 이 대목을 떠올렸을지 살짝 궁금했더라는 뭐 그런..).


2014년 1월 11일 토요일

Global Effects of Smoking, of Quitting, and of Taxing Tobacco

황승식 교수가, "한 문장 한문장 빼놓을 사실이 없지만, 21세기 흡연자를 위한 세가지 핵심 메시지만 급히 옮겨 놓는다"라고 소개하여 관심을 갖게 된, Prabhat Jha and Richard Peto의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페이퍼.

아주 짧지만 핵심을 정확하고 강렬하게 전달한다. 나는 나와 같은 비전공자에게 쉽게 전달 되는 두개의 그림을 여기에 옮기는 것으로....

1. Survival Rate

30대 흡연자와 금연자가 40, 50, 60, 70, 80세까지 살아있을 가능성 (예컨데, 80세까지 살아있을 확률은 영국 남성의 경우 금연자는 60%, 흡연자는 26%. 국가별로, 성별로 다르지 않게 나타나는 패턴).


나는 2005년 가을에 담배를 끊고 그 후 한가치도 피우지 않았는데, 담배가 정말 건강에 해롭다고 믿는 것이 큰 요인이었을 것으로 생각. 주변에 담배를 피우는 분 중 많은 경우는, "에이 얼마나 해롭겠어" 라고 주장하시는 분들. 모쪼록 아래 표를 유심히 보시길.

2. Price of Tobacco

담배 가격과 흡연율 사이에는 다양한 설이 존재하는데, 이 차트 정말 강력. 1990년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프랑스의 담배 가격(물가조정후)은 수십년간 지속적으로 조금씩 하락해왔는데, 그 기간동안 담배소비량(성인1인당, 하루)은 꾸준히 상승. 그 후 20년간 담배가격이 급속히 상승하여 세배까지. 이 기간동안 담배소비량은 절반 이하로 하락.


담배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세금인데, 경제학자들이 Sin Tax라고 부르는 세금들은 거의 예외없이 소득이 낮은 계층에 큰 부담을 지우는 역진적 성격 때문에 문제지만 그 효익이 이토록 크다면.....

(담배세는 내 개인적 어젠다 중의 하나인데....조물락 조물락 하다가 일단 담배가격 파일은 덮었다. 장기적 과제로....나중에 나중에....때가 오면 다시 펴 볼 생각)

2014년 1월 5일 일요일

Calorie Information on Vending Machines

흔히 Obamacare라고 불리우는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에 대해서 의료보험에 관한 논쟁만 부각되는데, 이 법률은 900여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온갖 내용이 들어있다. 처음 복지위에 온 다음에 도대체 오바마케어가 뭔지 직접 법문을 읽어봐야겠다고 찾은 다음에 그 엄청난 페이지에 덮었던 기억이 난다.

좌우간 그 한 귀퉁이에 있는 항목이 식품자판기에 칼로리 정보를 표시하게하는 것(SEC. 4205. NUTRITION LABELING OF STANDARD MENU ITEMS AT CHAIN RESTAURANTS). 찬반도 치열했고, 내가 보기엔 매우 훌륭한 방식으로 장단점에 대한 비교분석도 이루어지고 대중적으로 소통되고 있는 듯. 개인적으로 관심을 갖는 항목.

Links

1.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in Wikipedia
2.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fulltext, pdf) in GPO
3. An article in WaPo
4. Menu & Vending Machines Labeling Requirements in FDA

생활필수품 원가공개. 찬성과 반대

한국소비자보호단체협의회가 기획재정부의 후원을 받아 이달 중, 소비자물가정보서비스 홈페이지를 개통할 예정. 대상은 밀가루, 과자, 라면 등 생필품 31개 품목, 90개 제품이고, 공개정보는 지역별·업소별 가격, 시간 흐름에 따른 가격 변동, 원가분석정보 등. 다른 것들은 상대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적은데, 원가분석정보는 여러측면에서 찬반이 갈리는 듯. 첫째는 정확성 이슈로, 정확하게 어떻게 계산할지 모르겠으나, 제조원가를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정확하게 (또는 근사로라도) 계산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고, 둘째는 그 정보의 공개는 바람직한 것인가하는 문제.

소비자단체협의회장의 찬성 의견과, 한국식품산업협회 담당 이사의 반대 의견을 중앙선데이가 소개. 당신의 의견은?

중조(Mediation)

오늘 중앙선데이에 중조에 의한 갈등해결을 강조하는 강영진교수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글의 내용도 흥미롭고, 무엇보다 이 형 만난지 벌써 20년 다 되가는 듯, 마지막으로 본게 98년 DC 근처에서였으니. 남들보다 늦깍이로 유학간다고 해서 주변에서 좀 놀라워했었는데, 갈등해결학이라는 다소 생소한 분야의 전문가로 활약중.

책도 한권 내셨네, <갈등 해결의 지혜>.

2014년 1월 4일 토요일

미국 시사 주간지의 몰락...

한때는 대단했던 적이 있었다. 변방 한국에서도 Time 정도는 읽어줘야 (아니 최소한 끼고는 다녀야) 대학생 행세하던 시절이 있었으니. 약간 남다르게 보이고 싶으면 Newsweek이나 US News and World Report 뭐 이런 것으로 후까시잡던...

지금은 다 몰락했다. 뒤의 두 잡지는 결국 인쇄본을 내는 것을 포기하고 온라인 온리 매거진으로 변신했고, Time은 명맥은 유지하지만, 그 아우라는 다 사라졌다. 뭐 좀 읽는 시늉하는 이는 차라리 Economist를 찾는다.

이유야 다양하겠지만 그 컨텐츠가 퇴행한 것도 있지 않을까? Time: The Year in Review는 말하자면 일년치 중 엑기스만 모은 것일텐데, World 섹션의 7편의 엄선한 기사에서 마지막 요약과 러시아 푸틴을 빼면 시리아, 이집트, 이란, 터키, 소말리아 무슬림 문제다.

9/11의 여파이겠으나, 이 잡지에서 바라보는 World는 무슬림/테러 이런 것이 전부라는.... 심지어 China 기사도 하나 없는.... 말하자면 뭐 제대로 읽을 게 없는...